오늘 - 식중독 예측지도 서비스
기사입력 2019.03.03 08:59 조회수 2,260
-
식중독 예측지도 서비스 http://poisonmap.mfds.go.kr
식중독 위험도란?
식품의약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식중독 확진건수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상기상관측정보,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대기오염통계정보, 민간의 소셜미디어 정보의 분석을 통해 지역별 식중독 위험 발생 확률을 예측하여 이를 식중독 발생지수 (0~100)값으로 산출하여, 지역별로 식중독에 대한 발병 가능성 및 유행정도 등의 예측정보를 관심, 주의, 경고, 위험 4단계로 알려주는 척도입니다.
식중독 발생확률 예측모델
세균성=exp(-4.999-0.059*기온+0.083*최저기온+0.003*미세먼지+0.002*뉴스+지역별 가중치+월별 가중치)
/(1+exp(-4.999-0.059*기온+0.083*최저기온+0.003*미세먼지+0.002*뉴스+지역별 가중치+월별 가중치))
바이러스성=exp(-3.615-0.094*기온+0.073*최저기온-0.011*습도+0.004*미세먼지+지역별 가중치+월별 가중치)
/(1+exp(-3.615-0.094*기온+0.073*최저기온-0.011*습도+0.004*미세먼지+지역별 가중치+월별 가중치))- *P= 식중독 발생확률
- *e : 십의 자승을 의미합니다. ( 예 : 1.0E+03 = 1000 / 1.0E-02 = 0.01 )
식중독 발생확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중독 확진건수를 기반으로 지상기상관측정보인 기온, 최저기온, 습도, 대기오염통계정보인 미세먼지, 소셜정보인 뉴스 발생건수간의 관계식을 모델링하고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역,월효과를 적용해 최종 원인균별 (세균성, 바이러스성) 식중독 발생 확률을 예측합니다.
식중독 위험도 예측
예측된 식중독 발생 확률 값을 과거 2년 발생 확률값과 비교하여 해당 위험도 구간 비율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고, 위험, 4단계로 구분합니다.
단계 지수 구간 구간 확률 누적 확률 관심 0 ≤ P < 55 40.00% 40.00% / 파랑 주의 55 ≤ P < 71 30.00% 70.00% / 녹색 경고 71 ≤ P < 86 20.00% 90.00% / 주황 위험 86 ≤ P ≤ 100 10.00% 100% / 빨강
식중독 위험도 단계별 행동요령
- 화장실 사용 후, 외출 후, 조리를 시작하기 전, 후 등에는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 음식물은 85˚C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 조리하고 채소 및 과일류의 비가열 식품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서 섭취합니다.
- 식품용수는 가급적 수돗물을 사용하고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서 마시며, 조리기구는 충분히 세척한 후 소독합니다.
- 구토, 설사 정도가 심하고 탈수, 발열, 발진 등 증상시 바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지시를 따르고 집단설사 환자가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합니다.
<저작권자ⓒ소비자보호신문 & www.c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댓글0
위로